전체 글27 두뇌회로. 생각의 차이점의 발생. 목차 1. 마이클 조던의 재능 2. 두뇌의 변화 3. 새롭게 만들어지는 두뇌 4. 두뇌의 개별성 1. 마이클 조던의 재능 마이클 조던. 이 세상에서 가장 훌륭한 농구 선수 중 한 사람이 1994년 돌연 농구를 그만두고 야구를 하기로 결정하게 됩니다. 그러나 해당 리그 선수들 중 가장 낮은 성적을 보이며 야구선수로서 패배하게 됩니다. 야구 선수로서 조던의 성적은 너무나 저조하여 마이너리그 팀에도 들어가지 못할 정도였습니다. 이렇게 신체 능력이 뛰어난 사람이 마음먹고 도전한 스포츠 분야에서 실패할 수 있다는 것은 말도 안 되는 것 같지만, 그는 결국 마이너리그에서도 살아남지 못했습니다. 조던의 실패가 더욱 부각된 이유는 같은 해에 또 다른 스포츠계의 전설 켄 그리피 주니어가 야구장을 뜨겁게 만들었기 때문입니.. 2023. 12. 27. 인류의 진화와 날씨의 관계, 다목적 도구인 '상징추론' 능력 목차 1. 다목적 도구 2. 진화 과정의 추적 3. 놀라울 정도의 급격한 변화 4. 진화의 이유는 날씨? 5. 골디락스 효과 1. 다목적 도구 상징추론은 다목적 장치였습니다. 말과 글이 생기자, 우리는 똑같은 시련을 매번 겪지 않아도 살아가는 데 필요한 지식을 엄청나게 얻을 수 있게 되었습니다. 마찬가지의 이치로 우리의 두뇌가 최초로 상징추론 능력을 습득한 뒤로 우리는 그 능력을 계속 유지했습니다. 2. 진화 과정의 추적 두뇌는 생물학적 조직입니다. 그러므로 생물학의 법칙을 따릅니다. 그리고 생물학의 법칙에서 자연선택을 통한 진화보다 더 중대한 법칙은 없습니다. 과연 인류의 지식이 1300그램에 지나지 않는 둥그런 덩어리로 축적되기까지의 과정을 추적하는 것이 가능할까요? 결론부터 말하자면 아주 어렵다고 .. 2023. 12. 20. 인간 두뇌의 특별함 (상징추론, 이중표상 이론) 목차 1. 인간 두뇌의 독자적인 기능 2. 인간이기에 누리는 특권 3. 인간이어도 누리지 못하는 경우는 있다. 1. 인간 두뇌의 독자적인 기능 가혹한 환경을 이겨내는 방법은 두 가지입니다. 더 강해지거나 더 똑똑해지는 것. 우리 인류는 후자를 택했습니다. 우리처럼 신체적으로 나약한 종이 지구를 지배할 수 있었던 것은 근육이 아니라 뉴런을 키웠기 때문이라는 이야기는 가당치도 않게 들리죠. 그러나 인류는 실제로 그렇게 해왔으며, 과학자들은 그 방법을 알아내려 끊임없이 노력해 왔습니다. 이 문제를 광범위하게 연구해 온 주디 들로치(Judy Deloache) 교수는 이 분야에서 널리 존경받는 학자가 되었고, 버지니아대학교에서 연구를 계속하고 있습니다. 들로치 교수는 인간과 고릴라를 결정적으로 구분해 주는 인간의.. 2023. 12. 19. 몸을 움직여야 똑똑해지는 과학적인 이유 ('브레인 룰스' 리뷰) "몸을 움직이면 생각도 움직인다." 목차 1. 생각의 엔진, 운동 2. 적자생존: 움직이는 자가 살아남았다. 3. 운동을 해서 지능이 향상되었나? 4. 좋은 소식 5. 원리 1. 생각의 엔진, 운동 "과연 운동과 기민한 정신력 사이에 모종의 관계가 있는가?" 에 대한 답은 '그렇다' 입니다. 2. 적자생존: 움직이는 자가 살아남았다. 인류 진화의 역사는 많은 부분 논쟁에 휩싸여 있지만, 지구상의 모든 고인류학자들이 인정하는 한 가지 사실은 다음 두 단어로 요약됩니다. 우리는 움직였다. 그것도 상당히 많이. 기후가 건조해짐에 따라 열대우림이 줄어들기 시작하여 가까이에서 식량을 조달하기가 어려워지자, 인류는 점차 복잡한 나무를 오르는 3차원적 활동 대신, 초원을 이리저리 걸어 다니며 먹이를 찾는 2차원적 활.. 2023. 12. 18. 이전 1 2 3 4 5 ··· 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