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억력3 두뇌의 기능을 증진시키는 방법 3가지 목차 1. 들어가는 말 2. 두뇌는 실제 사례를 좋아한다. 3. 두뇌는 강력한 도입부에 끌린다. 4. 두뇌는 익숙한 환경에서 깨어난다. 1. 들어가는 말 정보는 정교하고, 의미가 있고, 상황이 비슷할 때 기억에 가장 잘 남게 됩니다. 부호화 단계, 즉 학습 초기에 얼마나 충실한가 가 이후 학습의 성과를 좌우하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이런 사실을 실생활에서 이용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충실한 부호화'란 한 가지 정보로 들어가는 입구를 얼마나 만들 수 있는가를 의미합니다. 학습하면서 입구를 더 많이 만들수록 나중에 그 정보에 접근하기가 더 쉬워집니다. 우리는 학습의 내용, 타이밍, 환경을 오가며 입구의 수를 늘릴 수 있습니다. 2. 두뇌는 실제 사례를 좋아한다. 학습하는 사람이 정보의 '의미'에 초점을 .. 2024. 1. 12. 기억을 남기려면 반복해야 하는 이유 목차 1. 생각의 저장 2. 망각 3. 기억에 관한 연구 1. 생각의 저장 기억이란 어떻게 보면 과거의 경험이 끊임없이 현재의 삶을 침범하게 만든다는 점에서 침략군과도 같습니다. 그러나 강건한 기억력은 인류가 거친 환경에서 살아남을 때 크나큰 이점이 됩니다. 우리가 지구를 지배할 수 있는 힘은 많은 부분 기억력에서 나왔습니다. 인간처럼 신체적으로 약한 생물이 경험을 통해 두뇌를 갈고닦지 않았더라면 살아남지 못하는 것은 당연한 절차였을 것입니다. 기억력은 진화의 한 요소 그 이상입니다. 대부분의 학자들은 기억력이 두뇌에 광범위하게 영향을 줌으로써 우리가 세상을 의식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 것이라는 데 동의합니다. 자고 일어날 때마다 모든 걸 잊어버려서 이 세상에 대해 하나부터 열까지 다시 배우지 않아도 되는.. 2024. 1. 6. 두뇌의 자극과 기억, 학습의 관계 그리고 멀티태스킹 목차 1. 주의 attention 2. 기억 3. 흥미 4. 인식 5. 감정 6. 두뇌와 멀티태스킹 1. 주의 attention 주의를 기울이는 것이 학습과 관련이 있을까요? 이 질문에 대한 답은 '물론 그렇다'입니다. 두뇌가 어떤 자극에 주의를 기울이면 기울일수록 그 정보는 더욱 정교하게 부호화되어 남습니다. 이것은 회사원들, 학생들, 그리고 아이들에게도 모두 해당됩니다. 한 연구결과가 있습니다. 1시간 프레젠테이션에서 사람들은 보통 전체 시간의 4분의 1이 지나기 전에 시계를 보았습니다. 무려 80%의 사람들이 말이죠. 10분이 지날 무렵 대체 어떤 일이 일어나는 걸까요? 그 답은 아무도 모릅니다. 두뇌는 뭔가 완고한 타이밍 패턴을 지니고 있는 것 같습니다. 그리고 이것은 분명 문화와 유전자의 영향을.. 2024. 1. 1.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