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두뇌5

반복은 기억을, 기억은 다시 반복을 낳는다 목차 1. 단기기억과 작동기억 2. 기억의 형성 3. 기억의 인출 1. 단기기억과 작동기억 단기기억은 매우 활동적이고 연속적으로 일어나며 복잡합니다. 단기기억의 각 능력은 정보의 특정 유형을 처리하도록 특화되어 있으며, 다른 것들과 동시에 작동합니다. 이렇게 다면적인 재능을 지닌 단기기억을 '작동기억'이라고 부릅니다. 작동기억은 분주하고 일시적인 일터이자, 두뇌가 새로 습득한 정보를 처리하는 작업대로 알려져 있습니다. 작동기억의 특성을 밝혀내는 데 가장 공헌한 사람은 영국의 과학자 앨런 배들리(Alan Baddeley)입니다. 배들리는 작동기억을 청각, 시각, 실행 등 3가지 구성 요소를 지닌 모형으로 묘사했습니다. 첫 번째로 청각 요소는 일부 청각정보를 간직하게 해 주며 언어정보에 할당됩니다. 배들리는.. 2024. 1. 14.
두뇌의 기능을 증진시키는 방법 3가지 목차 1. 들어가는 말 2. 두뇌는 실제 사례를 좋아한다. 3. 두뇌는 강력한 도입부에 끌린다. 4. 두뇌는 익숙한 환경에서 깨어난다. 1. 들어가는 말 정보는 정교하고, 의미가 있고, 상황이 비슷할 때 기억에 가장 잘 남게 됩니다. 부호화 단계, 즉 학습 초기에 얼마나 충실한가 가 이후 학습의 성과를 좌우하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이런 사실을 실생활에서 이용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충실한 부호화'란 한 가지 정보로 들어가는 입구를 얼마나 만들 수 있는가를 의미합니다. 학습하면서 입구를 더 많이 만들수록 나중에 그 정보에 접근하기가 더 쉬워집니다. 우리는 학습의 내용, 타이밍, 환경을 오가며 입구의 수를 늘릴 수 있습니다. 2. 두뇌는 실제 사례를 좋아한다. 학습하는 사람이 정보의 '의미'에 초점을 .. 2024. 1. 12.
두뇌의 자극과 기억, 학습의 관계 그리고 멀티태스킹 목차 1. 주의 attention 2. 기억 3. 흥미 4. 인식 5. 감정 6. 두뇌와 멀티태스킹 1. 주의 attention 주의를 기울이는 것이 학습과 관련이 있을까요? 이 질문에 대한 답은 '물론 그렇다'입니다. 두뇌가 어떤 자극에 주의를 기울이면 기울일수록 그 정보는 더욱 정교하게 부호화되어 남습니다. 이것은 회사원들, 학생들, 그리고 아이들에게도 모두 해당됩니다. 한 연구결과가 있습니다. 1시간 프레젠테이션에서 사람들은 보통 전체 시간의 4분의 1이 지나기 전에 시계를 보았습니다. 무려 80%의 사람들이 말이죠. 10분이 지날 무렵 대체 어떤 일이 일어나는 걸까요? 그 답은 아무도 모릅니다. 두뇌는 뭔가 완고한 타이밍 패턴을 지니고 있는 것 같습니다. 그리고 이것은 분명 문화와 유전자의 영향을.. 2024. 1. 1.
인류의 진화와 날씨의 관계, 다목적 도구인 '상징추론' 능력 목차 1. 다목적 도구 2. 진화 과정의 추적 3. 놀라울 정도의 급격한 변화 4. 진화의 이유는 날씨? 5. 골디락스 효과 1. 다목적 도구 상징추론은 다목적 장치였습니다. 말과 글이 생기자, 우리는 똑같은 시련을 매번 겪지 않아도 살아가는 데 필요한 지식을 엄청나게 얻을 수 있게 되었습니다. 마찬가지의 이치로 우리의 두뇌가 최초로 상징추론 능력을 습득한 뒤로 우리는 그 능력을 계속 유지했습니다. 2. 진화 과정의 추적 두뇌는 생물학적 조직입니다. 그러므로 생물학의 법칙을 따릅니다. 그리고 생물학의 법칙에서 자연선택을 통한 진화보다 더 중대한 법칙은 없습니다. 과연 인류의 지식이 1300그램에 지나지 않는 둥그런 덩어리로 축적되기까지의 과정을 추적하는 것이 가능할까요? 결론부터 말하자면 아주 어렵다고 .. 2023. 12. 20.